본문 바로가기
Publish

SEO(검색엔진최적화)

by 성젼이 2024. 10. 18.

 

Title

타이틀 속성은 META TAG의 description 과 비슷한 영향을 준다.

웹 접근성이라는 이슈때문에 국내 사이트들은 보통은 '사이트명>페이지명' 이렇게 쓰는 편인 것으로 아는데 SEO 상 공백 포함 10-70자정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구글에서 최대 70자를 보여주고, 처음 12단어를 보여준다고 한다.)

그리고 해당 페이지는 페이지마다 고유한 제목이 필요하다.

이 고유한 제목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페이지에 가장 중요하고 관련성 높은 키워드를 넣되, 단어 반복제한하도록 한다.

META Description

해당 웹페이지의 설명을 뜻한다.  구글에서 검색을 하게 되면 아래처럼 나오는데 노란색 줄 친 부분이 description meta tag로 나타내질 부분이다.

해당 텍스트는 70~160 자를 쓰는 것이 좋으며, 중요한 키워드를 사용해서 간략한 소개문 정도로 생각한다면 좋다.

다만 키워드만을 나열하는 것은 피하되, 이 또한 한 페이지 마다 고유한 description을 가질 수록 SEO 에 좋다.

META Keywords

해당 페이지의 중요한 단어 모음 정도로 생각하면 쉽다.

  1. 단어는 10~20자단어문구로 사용하고,
  2. 단어나 문구를 콤마로 구분한다.
  3. 문구 또는 단어를 반복하지 않는 편이 좋은데, 반복이 잦으면 구글에서 스팸으로 인식하게 된다.
  4. 목록의 처음 부분가장 중요한 단어나 문구를 넣어주는 것이 좋다.

Heading 태그의 적절함.

모든 문서는 대제목. 즉 책이라고 치면 책의 이름에서부터 시작한다.

우리가 작성하는 웹 또한 하나의 문서로 취급이 된다. 이렇듯 디자인에서 h3쯤 되보이는 모양이라고 해서 h1다음에 h3를 쓰면 안 된다는 것이다.

순서에 맞는 heading 태그의 적절함이 있어야 한다.

Img

이미지 태그같은 경우 alt와 파일명으로 그 이미지의 내용을 알 수 있게 함이 좋다.

Canonical Tag

중복 페이지는 구글 크롤링시 패널티를 받게 됨으로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아래와 같이 한다.

중복 페이지에서 link 의 속성으로 Canonical을 기입함으로써 표준 페이지를 설정한다.

href는 중복이 되는 표준 페이지 url을 기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복 url로 간주하여 빈도를 줄여 크롤링을 하게 한다.

또한 표준이 되는 페이지에도 link의 alternate속성을 줌으로써 두 페이지간 연결을 시켜준다.

<!-- 표준이 될 페이지 -->
<link rel="canonical" href="https://example.com/">

<!-- 중복된 페이지 -->
<link rel="alternate" media="only screen and (max-width: 640px)"
 href="http://m.example.com/">

 

Tip 📢

그 외에 스타일시트(CSS)를 인라인이 아닌 외부로 빼는 방식을 더 추천하며,

하이라이트 태그로 여겨지는 heading(h1-h6), b, u, i, em, strong 태그들을 주요 단어에 넣음으로써 SEO를 높일 수 있다.

'Pub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블리싱을 할 때 이런 가이드로 작업합니다!  (3)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