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3C Specification 상 alternate text에 대한 length limit 는 존재하지 않음.
- WCAG 2.0 문서상에는 영문 100자, 한글 90자 이내로 제한
- SEO 상으로는 2015년 기준 16자 이내를 권장
SEO(검색엔진최적화)가 화두로 오르는 현 시점에서 3번이 가장 현답인듯하나,
융통성있게 긴 문장의 경우 logdesc(롱데스크)를 이용하여 별도의 파일이나, 부분을 만들거나,
IR(이미지 대체기법)을 통해 좀더 알맞은 형태로 반영해줘야 할 듯 하다.
longdesc 관련하여 자료를 찾다가 글을 보았는데.
접근성상 긴 문장의 이미지에 longdesc를 달아주는게 접근성상 맞는 답인듯 하였지만,
실제 국내에서 시각장애인이 longdesc를 사용하는 경우의 수가 적다하니, 실상 무용지물이 아닐까싶다.
(참고한 글은 2010년 작성된 글이다. http://blog.outsider.ne.kr/534 )
하여 나 같은 경우는 IR기법이 주를 이루되, 슬라이드와 같은 이미지를 넣는 요소에 alt(대체텍스트)를 넣어주는 것으로 기준을 삼았다.
더불어 html5 확정안의 alt(대체텍스트)에 대해 스샷을 올려본다.
'Publish > accessib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접근성 검수 시 주의 (웹접근성 마크를 위한) (0) | 2021.06.29 |
---|---|
단계를 나타내는 UI - 프로세스 이미지화 (0) | 2021.06.29 |
탭 메뉴의 접근성 (0) | 2021.06.29 |
가독성을 위한 폰트사이즈 (0) | 2021.06.29 |
기본 중의 기본인, Skip Navigation (0) | 2021.06.29 |